인성, 지성, 실무능력을 겸비한 국제적 간호사(Global Nurse)양성
교과목명 | 교과목 소개 | ||
---|---|---|---|
전공기초 | 인문사회과학 | 심리학개론 Psychology |
마음의 생물학과 의식,감각과 지각,학습,기억,언어와 사고,동기와 정서,성격,심리장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연결해보고,스트레스 대처행동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. |
인간성장과 발달 Human Growth andDevelopment |
출생에서부터 노인에 이르는 변화를 단계적으로 정리하고,일상적인 역할에서의 장애와 변화를 다루고 인간발달과업에 대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서 인간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. | ||
다문화의 이해 Multicultural Understanding |
다양한 문화를 대표하는 개인,가족,그룹 및 지역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외국인 이주자의 증가 배경 및 국내외 현황 등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론,현상적 이해,정책현안 과제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. | ||
보건의사소통론 Health Communication Theory |
대상자의 건강 회복과 조직 운영에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술을 익히는 과목으로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원리,기술,태도를 익힌다. | ||
자연과학 | 인체구조와 기능Ⅰ Anatomy PhysiologyⅠ |
인체의 구조적 단계를 이해하고 인체의 구성,지지와 운동을 담당하는 주요계통에 포함되는 각 기관의 구조적 특징과 명칭,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. | |
인체구조와 기능Ⅱ Anatomy PhysiologyⅡ |
인체의 구조적 단계를 이해하고 인체의 구성,통합과 조정,조절과 유지를 담당하는 주요 계통에 포함되는 각 기관의 구조적 특징과 명칭,기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. | ||
인체구조와 기능Ⅲ Anatomy PhysiologyⅢ |
운반과 방어,호흡 및 배설,생식과 유전에 관여하는 구조와 기능에 대해 학습하고 .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학적 기능을 계통별[호흡기계,비뇨기계,림프계통과 면역계통,순환계통,생식기계]별 이해하고 구조와 기능이 상호연결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고 향후 간호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간호학적 지식을 학습한다. | ||
병원미생물학 Clinical Microbiology |
병원미생물과 감염증에 중요한 세균,바이러스,진균,프리온 및 원충과 감염증의 특성,진단 및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병원감염과 감염관리에 대한 미생물학의 기초적인 지식을 확립한다. | ||
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|
질병상태의 세포나 조직에서 관찰할 수 있는 구조적,생화학적,기능의 변화 등의 질병의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여 통합적 사고능력을 기른다. | ||
기초약리학 Basic Pharmacology |
약리학의 기초적인 이론과 약물의 작용기전과 인체와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약물투여의 원리,약물에 따른 인체의 반응 등 약물에 따른 간호의 과학적 기초지식을 학습하여 통합적 사고능력을 기른다. | ||
전공필수 | 간호학개론 Introduction of Nursing |
간호 역사와 철학적 문제 해결 방법들을 알아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접근과 문제해결에 대한 성찰을 도모하고 간호에 대한 윤리 및 전문직관을 가지며 간호리더십에 대해 이해한다. | |
간호윤리 및 전문직관 Ethics & Profession of Nursing |
윤리이론,윤리원칙,윤리규칙과 간호전문직관을 이해하고 임상간호실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적용 가능한 윤리적 가치체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임상에서 전문직 간호사로써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. | ||
간호과정 Nursing Process |
대상자의 실재적 또는 위험한 건강문제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간호사의 측면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하고 수행하여 평가하는 간호과정을 습득하여 종합적인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능력을 기르고 실제에 적용하도록 한다. | ||
기본간호학Ⅰ Fundamentals of NursingⅠ |
간호의 기본 개념(인간,건강,간호,환경)을 이해하고 대상자의 입ㆍ퇴원,안전,활력징후,감염관리,수술주기간호,상처간호,개인위생,활동과 운동,체온유지,산소화,영양 및 배설 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 원리와 간호기술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전문적 지식을 습득한다. | ||
기본간호학실습Ⅰ Fundamentals of NursingPracticeⅠ |
대상자의 기본건강요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기 위하여 입ㆍ퇴원,안전,활력징후,감염관리,수술주기간호,상처간호,개인위생,활동과 운동,체온유지,산소화,영양 및 배설 관련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기본간호술(비침습적)및 핵심기본간호술(9가지)등을 절차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Ⅰ Adult NursingⅠ |
총론,영양장애(위장관,간·담도·쓸개),활동휴식장애(근골격계)를 가진 성인대상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고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기본간호학Ⅱ Fundamentals of NursingⅡ |
대상자의 산소화,배설,투약 등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 원리와 간호기술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전문적 지식을 습득한다. | ||
기본간호학실습Ⅱ Fundamentals of NursingPracticeⅡ |
대상자의 기본건강요구를 파악하고 충족시키기 위하여 산소화,배설,투약 관련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기본간호술(침습적)및 핵심기본간호술(10가지)등을 절차에 따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건강사정 및 실습 Health Assessment & Practice |
대상자에 대한 포괄적인 건강사정의 개념과 방법에 관해 학습하여 신체적,정신적,사회적 건강상태의 정상과 비정상을 감별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포함한다. | ||
성인간호학Ⅱ Adult NursingⅡ |
산소공급장애(호흡기계),조정장애(신경계)를 가진 성인대상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고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여성건강간호학Ⅰ Women's Health NursingⅠ |
여성 건강과 간호,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 및 정상분만의 생리적 과정을 이해하고 분만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. | ||
아동간호학Ⅰ Pediatric NursingⅠ |
신생아 및 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단계와 특성 및 신생아 및 아동의 고위험 질환에 대한 병태생리,진단적 검사,치료 및 간호를 이해하고,설명할 수 있는 전공지식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지역사회간호학Ⅰ Community NursingⅠ |
국내외 보건정책 이해,역학,건강형편성과 문화적 다양성의 실무적용,보건사업기획,자원 활용,간호과정 적용,보건사업기획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지역사회간호에 적용 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Ⅲ Adult NursingⅢ |
산소공급장애(순환기계,혈관계,혈액계)를 가진 성인대상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고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정신간호학Ⅰ Psychiatric NursingⅠ |
정신건강과 인간의 이해,정신질환과 이상행동의 이해와 간호,치료적환경과 대상자 중재법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여 정신간호수행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아동간호학Ⅱ Pediatric NursingⅡ |
특수 문제(위장관장애,비뇨생식기장애,호흡기장애,심혈관장애,혈액장애,세포장애,면역장애,내분비장애,피부장애,감염성장애)를 가진 고위험 아동의 주요 질환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여성건강간호학Ⅱ Women's Health NursingⅡ |
여성생식기계 질환의 병태생리,진단적 검사,치료 및 간호를 이해하고,설명할 수 있는 전공지식을 습득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수행능력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실습Ⅰ Adult Nursing PracticeⅠ |
성인의 내ㆍ외과적 일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,대상자(성인환자)의 건강회복,유지 및 증진을 위해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핵심기본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의 과정 중 주관적,객관적 자료 수집,간호문제 파악,간호진단,간호목표,간호계획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여성건강간호학실습Ⅰ Women's Health NursingPracticeⅠ |
여성의 임신 및 분만과 관련된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핵심(기본)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아동간호학실습Ⅰ Pediatric Nursing PracticeⅠ |
신생아 건강문제를 파악하고,신생아의 건강회복,유지 및 증진을 위해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핵심기본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의 전 과정을 실제 적용하는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지역사회간호학실습Ⅰ Community Nursing PracticeⅠ |
지역사회 간호사로서 보건소와 보건진료소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,지역사회 인구집단의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Ⅳ Adult NursingⅣ |
조정장애(내분비계),요로계장애,성기능장애를 가진 성인대상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고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지역사회간호학Ⅱ Community NursingⅡ |
지역사회 일차 보건의료실무를 비롯하여 감염성질환과 만성질환자 관리 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건강보호,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역량을 기른다. | ||
노인간호학 Gerontological Nursing |
노인 간호대상자의 특성을 이해하고,노인 및 고위험 노인 가족에게 전문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간호관리학Ⅰ Nursing ManagementⅠ |
간호관리이론을 이해하고 간호 관리과정 중 기획,조직,인사,리더십과 간호적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실제 간호 실무에서 필요한 다양한 관리적 문제 해결 기술을 습득하고 간호관리 역량을 기른다. | ||
여성건강간호학Ⅲ Women's Health NursingⅢ |
월경장애,불임 및 고위험 임신,분만 및 고위험 산욕에 따른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수행능력을 함양한다. | ||
아동간호학Ⅲ Pediatric NursingⅢ |
특수 문제(감각장애,신경장애,인지장애,근골격장애,심리사회장애,아동학대와 방임)를 가진 고위험 아동의 주요 질환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정신간호학Ⅱ Psychiatric NursingⅡ |
정신병적 장애를 가진 개인,가족 및 지역사회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치료적 환경,지지치료,정신재활치료,치료적 의사소통 등을 활용하여 간호중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정신간호학Ⅲ Psychiatric NursingⅢ |
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예방,정신사회재활,위기 및 재난관리 능력을 기른다. | ||
지역사회간호학Ⅲ Community NursingⅢ |
지역사회에 환경보건관리,산업보건간호 및 재난관리 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건강보호,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역량을 기른다. | ||
성인간호학실습Ⅱ Adult Nursing PracticeⅡ |
성인의 내ㆍ외과적 건강문제를 파악하고,대상자(성인환자)의 건강회복,유지 및 증진을 위해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핵심기본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의 전과정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아동간호학실습Ⅱ Pediatric Nursing PracticeⅡ |
아동의 정상적인 성장발달의 과정과 원리에 기초를 두고 학습 성과와 핵심기본간호술을 반영하여 임상에 적용하고,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함양함으로써 아동의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며 나아가 건강상태를 유지증진하고 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비판적인 사고와 간호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통합적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여성건강간호학실습Ⅱ Women's Health NursingPracticeⅡ |
여성의 산욕 및 생식기계 간호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핵심(기본)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정신간호학실습Ⅰ Psychiatric Nursing PracticeⅠ |
정신병동에서 수행되고 있는 정신간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호과정 적용 및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실습Ⅲ Adult Nursing PracticeⅢ |
중환자,응급환자,수술환자의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대상자(성인환자)의 건강회복,유지 및 증진을 위해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핵심기본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의 전과정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지역사회간호학실습Ⅱ Community Nursing PracticeⅡ |
지역사회 노인전문복지요양시설 대상자 관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기른다. | ||
노인간호학실습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|
노인의 일반적인 건강문제와 질환의 특성을 파악하고,대상자의 건강회복,유지 및 증진을 위해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핵심기본간호술을 관찰,수행 그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정신간호학실습Ⅱ Psychiatric Nursing PracticeⅡ |
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 대상자 관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,정신건강예방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재활에 도움을 줄 수 실무능력을 함양한다. | ||
성인간호학Ⅴ Adult NursingⅤ |
감각장애를 가진 성인대상자 간호를 위해 필요한 간호지식을 습득하고 간호 및 보건의료인과 협력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임상적 추론을 통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한다. | ||
간호관리학Ⅱ Nursing ManagementⅡ |
간호 관리과정 중 지휘,통제와 간호적용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실제 간호 실무에서 필요한 다양한 관리적 문제 해결 기술을 습득하고 간호관리 역량을 기른다. | ||
보건법규 Medical Legal |
의료인으로서 갖춰야 할 법적,전문가적 책임과 의무 및 권리와 관련된 법적,윤리적 기준을 이해하고 간호 실무에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간호연구개론 Nursing Research |
간호와 관련된 현상을 파악하고 분류하며 그 현상을 설명,이해하는 과학적인 방법론을 학습하고 간호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 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통합임상실습 | 정확하고 충분한 간호지식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며,비판적 사고에 근거하여 통합적 시각에서 대상자의 실재,잠재적 간호문제를 진단 및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간호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| ||
간호관리학실습| Nursing Management Practice |
간호관리과정을 실제 임상현장에 적용하여 간호관리 능력과 역할수행에 필요한 전문직관 및 리더십을 갖추며,간호업무에 대한 윤리적,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통합간호시뮬레이션 Integrated Simulation Practice |
간호실무와 관련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시뮬레이터를 통해 통합적 간호실무 능력과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학과정 적용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간호지도자론 Nursing Leadership |
간호학에서 필요한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실제 간호 실무에서 필요한 다양한 관리적 문제 해결 기술을 습득하고 간호 관리자로써의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. | ||
전공선택 | 진단검사와 간호 Diagnostic Tests and Nursing |
임상현장에서 시행하는 진단검사와 검사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해부,생리 및 병태생리 및 각 검사별로 정상소견,영향요인,검사목적,적응증,대상자 준비,간호 및 문제 활동을 학습함으로써 임상실무능력을 함양한다. | |
간호용어 Nursing Medical Terminology |
의학용어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고,인체 계통별로 해부,생리,병리적 특성과 연계된 의학용어 및 임상간호 실무에서 사용되는 증상,검사,수술 및 치료와 관련된 간호용어를 습득함으로써 간호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 ||
보건교육방법론 Health Education |
건강,건강증진 및 보건교육과 관련된 이론 및 개념의 적용을 위한 중요성을 이해하며,개인 또는 집단의 특성 및 건강행위,학습·교수,보건교육 기획,보건교육 방법 및 매체,보건교육 평가의 지식과 실제를 습득한다. | ||
영양과 식이 Nutrition & Diet |
생애 주기별 영양지식과 질병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양 중재 방법을 이해하고 습득하여 임상 실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 | ||
글로벌 간호경영과 창업 Global Nursing Management & Business |
임상 실무에서 관리기능과 경영기술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간호와 경영 패러다임에 대한 전공지식을 습득한다. | ||
간호정보학 Nursing Informatics |
임상 실무에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컴퓨터와 정보 관리 전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스템의 선택,개발,수행,활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. | ||
임상약물간호 Clinical Drug Nursing |
임상에서 적용되는 투약용량계산,중요한 약물의 투약간호 및 대상자별 약물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약물간호를 위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. | ||
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Health Program Opening andReview |
보건프로그램의 이해,보건프로그램의 개발,보건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실제 간호 실무에서 보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술을 습득하고 수행 가능한 역량을 기른다. | ||
전공선택 |
융합항노화개론 |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일상생활 중심의 항노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인성역량의 함양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는 항노화 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함. | |
융합헬스케어 | 응급처치의 기본원칙과 수행범위 및 응급의료전달체계에 대한 이해와 항노화 응급대상자 사정,중등도 분류,우선순위 결정,응급처치 및 기본심폐소생술을 수행 능력 함양신체 반사구에 대하여 이해하고 신체 증상에 따라 적절한 반사구 자극 수행 능력 함양 | ||
융합항노화실무 | 언어 소통과 비언어적 소통에 대한 이해,웃음의 이해와 다양한 감성소통기법 습득자산관리의 기초지식,금융상품 및 투자상품의 이해,노후 경제적 자유를 도모하기 위한 연금제도의 이해 |